정치 뉴스

한국 정부신뢰도 OECD 20위 ‘역대 최고’ “일본·미국 앞서.. 국가 위상 변화한 결과”

메디아 2021. 7. 13. 09:00
728x90
반응형

[인터뷰 제1공장]

한국 정부신뢰도 OECD 20위 역대 최고

일본·미국 앞서.. 국가 위상 변화한 결과

최배근 교수 (건국대 경제학과)

  

▶ 김어준 : OECD에서 2년마다 발표하는 정부 신뢰도 조사라는 게 있습니다여기서 한국이 처음으로 20대에 올랐는데요. OECD 발표라 뉴스공장의 경제가정교사 최배근 교수님 모셨습니다안녕하십니까

  

▷ 최배근 안녕하세요

  

▶ 김어준 : OECD 발표는 대부분 이제 최배근 교수님이 하시기 때문에이건 근데 이제 경제 순위가 아니라

  

▷ 최배근 정부 신뢰도죠

  

▶ 김어준 정부 신뢰도 순위 조사라는 걸 하네요이게 매년 해왔던 거고보니까

  

▷ 최배근 

  

▶ 김어준 그래서 과거 수치를 보니까 열두 단계를 우리가 상승해서 최근 들어서 20위 안에 처음 들어갔다그러네요

  

▷ 최배근 

  

▶ 김어준 이거 어떻게 질문하는 겁니까

  

▷ 최배근 일단 이제 OECD 회원국들 대상으로 해서요

  

▶ 김어준 그 국가 국민들에게

  

▷ 최배근 갤럽사에다가 이제 부탁을 해 가지고 그래 가지고 이제

  

▶ 김어준 똑같은 질문을 하는 거죠

  

▷ 최배근 그렇죠

  

▶ 김어준 전 세계

  

▷ 최배근 국민들 천 명을 대상으로 해 가지고 질문해서 예를 들어서 중앙정부를 신뢰하십니까이렇게 묻고 거기에 대해 하부 질문에 자신들이 이제 체크하고 싶은 항목들이 있어요그런데 이제 보게 되면 정부의 어떤 대응능력 같은 경우그러니까 정부 능력도 중요한 거잖아요신뢰도라면요

  

▶ 김어준 그렇죠신뢰도는 정부가 어떤 특정 사안에 어떻게 대처했냐종합적인 평가죠

  

▷ 최배근 그렇죠특히 이제 이 코로나 같은 상황 속에선 굉장히 그게 중요하잖아요그다음에 이제 정부에 대해서 얼마나 신뢰하느냐이런 것도 있고 정부가 얼마나 투명하게 가고 공정하게 가느냐사회 통합을 얼마나 이제 통합에 신경 쓰느냐뭐 이런 것 등등이 이제 하부 분석으로 되어 있거든요그런데 이 정부 신뢰도가 이제 중요한 이유는요뭐 경제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굉장히 중요한 이유는 정부 신뢰라는 것은 어쨌든 간에 정부 정책들을 성공적으로 이제 그러니까 수행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요소에요.

  

▶ 김어준 그렇죠

  

▷ 최배근 정부가 정부에 대해 신뢰를 하지 않으면 국민들이 거기에 대해서 그러니까는 정책에 협조를 하지 않거든요굉장히 이제 정책을 성공으로 만드는 데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고요그다음에

  

▶ 김어준 기업도 투자하기 힘들죠

  

▷ 최배근 그렇죠그래서 정부 신뢰도가 낮아지게 되면 투자 의욕이 감퇴된다는 게 실증적으로 이렇게 연구 결과도 많이들 나와 있고요

  

▶ 김어준 참고로 이번 신뢰도 조사에서 45%가 나왔는데 대체로 보면 문 대통령 지금 최근에 지지율하고 비슷한

  

▷ 최배근 비슷하죠

  

▶ 김어준 뭐 그런 것 같습니다

  

▷ 최배근 그런데요우리가 이번에 이제 20위가 됐다고 하지마는

  

▶ 김어준 : 45%가 20위면 다들 낮나 봐요

  

▷ 최배근 더군다나 뭐냐면 우리보다 앞에 있는 나라들이요대개가 이제 북유럽에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북유럽에 소위 복지국가라든가

  

▶ 김어준 노르웨이핀란드복지국가들

  

▷ 최배근 그렇죠이 인구가 작으면 아무래도 통치하기가 좀 쉬워요

  

▶ 김어준 스위스이런 나라들

  

▷ 최배근 스위스가 이제 항상 1위를 하고 있는데 직접민주주의가 되고 그러잖아요그래서 이제 이들 나라들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고

  

▶ 김어준 이들 나라를 제외하면 그다음에

  

▷ 최배근 그렇죠독일이라든가 이런 나라들이 좀 이제 우리보다 앞에 있는 거고 영국이 우리하고 비슷해요. 19위니까는

  

▶ 김어준 : 46이네요

  

▷ 최배근 그럼 이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선진국이라고 하는 미국이라든가 프랑스라든가 일본이런 나라는 우리보다 뒤처져 있다고요

  

▶ 김어준 이탈리아

  

▷ 최배근 이런 나라들스페인이런 나라들이요

  

▶ 김어준 우리나라하고 규모가 비슷하거나 더 큰 나라들은 대부분 뒤에 있네요

  

▷ 최배근 그렇죠

  

▶ 김어준 국민의 욕망이 복잡한 국가일수록 크고

  

▷ 최배근 인구가 크고 이제 그러면 그만큼 관리하는 것도 이제 그거하고

  

▶ 김어준 어렵죠

  

▷ 최배근 그렇죠그런데 이제 문제는 뭐냐면 올해 이게 주목을 하고 있는데 20위 됐다고 12계단 뛰었다는데 12계단이라는 게 2017년 대비란 말이에요사실 올해 이 숫자는 작년 이런 게 거의 반영된다고 사실 봐야 돼요많은 자료들은요그러면 2017년에 이제 최하위를 기록했었어요. 37개 국가 중에 32위니까요

  

▶ 김어준 그때는 탄핵 국면 직후니까

  

▷ 최배근 맞아요그거예요그런데 2019년도에 이미 우리가 일본프랑스미국을 제치기 시작했어요올해 처음이 아니라요

  

▶ 김어준 그렇군요

  

▷ 최배근 그 당시에 22위를 했었거든요. 2년 전에요. 2019년에 많은 변화들이 생기는데 올해 이 수치가 40%가 넘어섰다고 해 가지고 주목을 하는데 여전히 북유럽 국가들은 80%대도 많이 있어요

  

▶ 김어준 그러니까요이게 이제 인구가 천만이 안 되는 나라들이에요대부분 보니까

  

▷ 최배근 그렇죠맞습니다

  

▶ 김어준 복지국가유럽의 복지국가들이고 이들 국가는 말씀하셨듯이 이제 나라 사이즈도 작고 복지 수준도 높고

  

▷ 최배근 그렇죠

  

▶ 김어준 스위스 같은 경우에는 직접민주주의 아닙니까

  

▷ 최배근 그렇죠

  

▶ 김어준 그러다 보니까 80%에 도달하고그러니까 대통령이나 총리나 그게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는 게 아니라 정부 시스템이 자기들이 스스로 만든 거라고 생각해 가지고 신뢰가 높은 것 같고

  

▷ 최배근 맞습니다

  

▶ 김어준 사이즈가 좀 되면 영국 이하 유럽 주요 국가들은 큰 나라들은 다 낮아요보니까

  

▷ 최배근 심지어 대부분 이제 그러니까 우리가 선진국 지수에서 우리가 높은 게 이제 호주 같은 경우인데 호주도 우리보다 두 등급 아래에 있어요

  

▶ 김어준 그런데 일본이 낮은 건 의외네요일본은 전통적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은 나라였는데

  

▷ 최배근 일본이요일본이 원래 이렇게 낮지 않았어요원래 이렇게 낮지 않았었는데 그런데 이제 일본이 이제 이 소위 말해서 지난 한 10년 동안에 굉장히 이제 그러니까는 일본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서 경제적인 거라든가 아니면 사회적인 재난이라든가 이런 것에 대해서 정부가 굉장히 매뉴얼로 대응하는 것이 잘 작동을 하지 않고 그랬죠

  

▶ 김어준 최근에는 특히나 수출 규제나 코로나 같은 경우에 다 실패했으니까

  

▷ 최배근 그렇죠그러다 보니까 이제 과거에 비해서 좀 많이 이제 하락한 이제 경향이 좀 있고요있는데 그런데 이제 그 대한민국이 제가 이제 주목하는 것은 2019년에 그러니까 이렇게 점프가 시작됐다는 건데 그리고 이제 앞에 이제 우리보다 이제 신뢰도가 높은 나라들이 대개 북유럽 국가들인데

  

▶ 김어준 뉴질랜드 있습니다뉴질랜드

  

▷ 최배근 뉴질랜드가 있고

  

▶ 김어준 뉴질랜드 조그만 나라고

  

▷ 최배근 조그만 나라죠

  

▶ 김어준 룩셈부르크 조그만 나라

  

▷ 최배근 오스트리아무슨 뭐 이런 나라들 그러니까 북유럽 국가들과 더불어 가지고 아이슬란드뭐 이런 나라들

  

▶ 김어준 위에는 다 북유럽 국가고 거기에 이제 뉴질랜드가 끼어 있네요. 10위권에유일하게

  

▷ 최배근 그렇죠그랬을 때 이제 이들 나라들의 이제 공통점들이 대개 보게 되면 민주 수준이 되게 높은 나라들이에요

  

▶ 김어준 그러네요

  

▷ 최배근 민주주의 수준도요세계에서 그러니까 민주주의를 추정하는 그러니까 가장 대표적인 기관이 스웨덴에 그러니까 브이뎀이라고 해서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라는 게 있어요여기가 이제 그러니까는 그 수백 명수천 명 연구자들이 참여해 가지고 각국에 200개 넘는 나라들 대상으로 매년 이제 그걸 발표하는데

  

▶ 김어준 민주화 정도

  

▷ 최배근 민주화 정도죠그런데 여기에서 보게 되면요우리가 중요한 변화가 뭐냐면 2000, 매년 이제 보고서를 내는데 2021년 게 보고서는 2020년 자료에요

  

▶ 김어준 작년 자료

  

▷ 최배근 그런데 우리나라가 2019년부터 상위 10% 그룹으로 뛰어올라가요

  

▶ 김어준 그러니까 민주화 정도가 가장 진척된 나라 202개 나라 중에

  

▷ 최배근 국가 중에서 상위 10%니까는 한 17개 국가 정도 그룹에 들어가져요

  

▶ 김어준 가장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 10% 안에 들어갔다처음으로

  

▷ 최배근 그렇죠그러니까 이제 일본이나 미국이 여기에 보게 되면 우리나라보다 한참 뒤에 쳐져 있어요

  

▶ 김어준 그거야 아베와 트럼프가 등장했는데

  

▷ 최배근 그러니까 우리가 이제 소위 말해서 2017년만 이런 때만 하더라도 보게 되면 대만보다도 밑에 쳐져 있었습니다

  

▶ 김어준 이 기준으로는

  

▷ 최배근 그런데 이제 이게 2019년부터 그러니까 우리가 상위 10% 그룹에 진입을 합니다

  

▶ 김어준 이게 다 연결된 이야기네요

  

▷ 최배근 그렇죠그러니까 그게 왜 2019년에 이게 이제 우리가 이런 게 발생했느냐 하는 문제가 2019년에 중요한 게 일본 경제침략 하고 그리고 그 속에서 소위 말해서 우리가 대응을 하면서 성공적으로 대응을 하면서 시민들의 그러니까는 이 열등감도 많이 사라졌고 그러면서 시민의식들이 굉장히 제고가 됐죠정부 신뢰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뭐냐면요시민들이 얼마나 그러니까 협조를 이끌어내느냐이런 것도 굉장히 중요해요

  

▶ 김어준 시민적 자존감이 높아졌다는 것이네요

  

▷ 최배근 그렇죠그래서 이번에 그러니까 코로나 상황 속에서도 OECD에서 주목하는 게 뭐냐면 코로나 상황 속에선 특히 뭐냐면 정부 신뢰도가 시민의 협조 확보라는 데 절대적인 하나의 중요한 기준이다이거예요

  

▶ 김어준 그게 다 이제 묶여서 종합적으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 최배근 그렇죠

  

▶ 김어준 알겠습니다그런데 이제 안철수 대표 같은 경우에는 K-방역이 킬 방역이라고 하시는데 사실 수치로도 그러니까 전 세계 코로나 통계들이 계속 나오는데 보면 사망률로도 우리가 가장 낮은데 거기다 킬 방역이라고 하면

  

▷ 최배근 거기다 일부 모 변호사 같은 경우 뭐 저기 저 한국을 나치즘파시즘여기다 비유하는 사람도 있잖아요이게 얼마나 현실과 동 떨어진 얘기냐

  

▶ 김어준 이제 현 정부에 대해서 불만이 있으니까 그걸 과격하게 표현

  

▷ 최배근 그래도 어느 정도 좀 저기 좀

  

▶ 김어준 정치적 표현 하는 거겠죠알겠습니다이게 그러니까 단순하게 볼 게 아니라

  

▷ 최배근 최근에 우리가 운크타트에 선진국 이 변화 같은 경우도요선진국 되는 게 경제력만 되는 게 아니에요

  

▶ 김어준 한미 정상회담이나 G7이나 P4G나 운크타트나 또는 스웨덴 연구소의 결과나 OECD의 이 평가나 전체적으로 다 하나의 흐름이네요말하자면

  

▷ 최배근 그렇죠이게 최근 2년에 이렇게 다 나타나는 현상이거든요그래서 이게 운크타트에서 된 것도 거기도 반영된 게 뭐냐면 시민의식이나 민주주의 지수도 반영됐어요선진국 그거 하는데 속에서요그러니까 이제 그런 점에서 이게 다 하나의 흐름이라는 얘기죠. 2019년 전으로 많이 변했다는 것

  

▶ 김어준 알겠습니다교수님오늘 여기까지 해야 되겠습니다

  

▷ 최배근 감사합니다

  

▶ 김어준 경제수치가 한 번도 등장하지 않은 첫 번째 시간이었습니다최배근 교수님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