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뉴스

백신, 사망예방효과 97.3%.. 돌파감염은 0.035% & 위드코로나, 국민 70% 접종완료 시점 적용 고려

메디아 2021. 8. 26. 12:32
728x90
반응형

[인터뷰 제3공장] -전화연결

백신, 사망예방효과 97.3%.. 돌파감염은 0.035%

& 위드코로나, 국민 70% 접종완료 시점 적용 고려

- 배경택 상황총괄단장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 김어준 : 오늘부터 49세 이하 백신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배경택 상황총괄단장 전화 연결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배경택 : 네, 안녕하세요. 질병관리청의 배경택입니다. 

 

▶ 김어준 : 자, 현재 기준으로 인구 대비 1차 접종은 몇 %입니까? 

 

▷ 배경택 : 네. 1차 접종은 인구 대비 52%고요. 그다음에 접종 완료하신 분들은 25.1%입니다. 우리 연령대별로 잠깐만 말씀드리면 80세가 넘으신 분들은 1차 접종 82% 받으셨고요. 접종 완료는 78.4%. 80대 이상은 거의 하신,

 

▶ 김어준 : 80대 이상은 접종 완료가 70%가 넘었어요? 

 

▷ 배경택 : 78.4%입니다. 

 

▶ 김어준 : 거의 80%네요. 

 

▷ 배경택 : 네. 그다음에 70대는 1차 접종을 91.9%, 접종 완료는 75%. 

 

▶ 김어준 : 그러니까 70, 80대 이제 고연령층 위험군은 사실상 70% 이상이 2차 접종 완료했군요.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60대는 1차 접종이 92.2%, 50대는 1차 접종이 81.3%, 그다음에 40대 이하부터는 그동안에 이제 30%대로 지금 접종을 하셨거든요. 여러 가지 사회복무 필수요원이나 이런 것들로 받으셔서 오늘부터 이제 18에서 49세 예약하신 대로 1차 접종하고요. 50대는 참고로, 40대는 참고로 33.9%, 30대가 37.1%, 20대 이하가 34.3%가 1차 접종을 마치셨습니다. 

 

▶ 김어준 : 그렇군요. 50대 이상은 70% 이상 접종했다고 보면 되겠군요.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 김어준 : 50대 이상은. 이제 오늘부터 이제 18세부터 49세까지 본격 접종을 하는데 그 1, 2주 정도 추석 전후로 접종을 당길 수 있다고 하는데 당겨집니까?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네. 

 

▶ 김어준 : 모더나 백신 물량이 확보돼서. 

 

▷ 배경택 : 맞습니다. 9월 초까지 모더나가 이제 당초 저희가 계획되었던 것보다 모더나 측에서 우리 정부가 강하게 요청을 하니까 좀 물량을 더 많이 주겠다고 했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 물량을 활용해서 9월 초까지 도입하는 물량을 활용해서 18에서 49세 분들한테 9월 6일 이전에 예약하시고 싶어 하시는 분들은 추가적으로 예약을 지금 받고 있는 겁니다. 

 

▶ 김어준 : 알겠습니다. 그러니까 4주 최초 계획했다가 모더나 물량 문제가 생겨서 6주로 연기했다가 그걸 다시 4주로 당기는 거죠? 

 

▷ 배경택 : 지금 저희 그 부분까지는 아니고요. 일단 저희가 지금 9월 초 예약하신 분들 있지 않습니까? 

 

▶ 김어준 : 이미 예약한 분들 중에. 

 

▷ 배경택 : 네. 그중에서 이제 9월 6일 이전에 하시고 싶은 분들은 예를 들면 본인이 뒤쪽에 추석 이후에 예약을 하셨다 하는 분들은 9월 6일 이후로 예약을 좀 당겨서 하실 수 있도록 기회를 지금 만든 겁니다. 

 

▶ 김어준 : 그렇군요. 이건 4주, 6주하고 무관하게 물량이 이제 확보됐기 때문에 추석 이전으로 당기실 분들은 원하시는 분들은 당길 수 있다, 이런 거군요.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 김어준 : 알겠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백신 접종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셨어요. 좀 자세히 알려주십시오. 

 

▷ 배경택 : 네. 저희가 접종 완료한 게 4월 3일부터 이제 2차 접종이 끝나신 분들이 나오거든요. 그래서 그분들 4월 3일 이후부터 그다음 8월 14일까지 확진되신 분들이 그 기간 동안에 확진되신 분들이 한 10만 5천 명 정도 되세요. 그래서 이분들을 확진되신 분들이 접종을 하셨는지 안 하셨는지 접종 완료를 하셨는지를 분석을 해봤더니 그 확진자 중에서 87.9%가 미접종자였더라. 그다음에 사망자 같은 경우에는 82.4%가 미접종자였더라, 이렇게 계산을 해보니까 미접종자군 대비 접종 완료군에서 백신 감염 예방 효과는 82.6%. 그리고 60대 이상에서 특히 효과가 96.5%로 나타나서 예방접종을 하시면 감염되는 것들이 안 하신 분들보다 훨씬 낮더라. 

 

▶ 김어준 : 뭐 예상했던 바인데 우리가 이제 그 백신 접종한 분들의 숫자가 뭐 몇 백만 명 단위가 되다 보니까 정확한 통계가 나온 거네요. 

 

▷ 배경택 : 그렇습니다. 이제 그렇게 나오게 되는 거죠. 그리고 백신의 중증 예방 효과는 그래서 저희가 85.4%, 5월 이후에 조사를 해보니까 그렇고, 사망 예방 효과는 97.3%라고 저희가 분석을 해서 발표를 드리는 겁니다. 

 

▶ 김어준 : 이런 얘기 나오면 언론에서 돌파 감염 얘기를 끊임없이 하거든요. 돌파 감염 관련 보도량만 보면 백신 접종한 분들, 백신 접종 완료한 분들 중에 뭐 둘 중 한 분 정도는 돌파 감염되나 싶을 정도로 보도량이 많아요. 실제로 어떻습니까? 

 

▷ 배경택 : 네.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모수를 얘기 안 하고서 그 돌파 감염자 숫자만 자꾸 말씀을 하셔서 그렇거든요. 모수가 접종 완료자가 8월 18일 기준으로 750만 명입니다. 

 

▶ 김어준 : 750만 명. 

 

▷ 배경택 : 750만 명 중어서 돌파 감염이 몇 명이 생겼냐 보면 2,500명 정도 되시거든요. 

 

▶ 김어준 : 2,500명. 몇 %입니까, 이게 그러면? 

 

▷ 배경택 : 0.035%입니다. 

 

▶ 김어준 : 0.035. 

 

▷ 배경택 : 만 명에 한 3명 정도 되는 거거든요. 

 

▶ 김어준 : 1%도 안 되고 0.1도 아니고 0.035라는 거죠.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분들이 그렇게 돌파 감염이 걸리셨더라도 사망이나 위중증에 가는 것까지 굉장히 많이 예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래서 돌파 감염이 심각하다라고 생각하시지 마시고 일단 예방접종을 맞는 게 가장 중요하다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김어준 : 그러니까 접종 완료한 분들은 99.9%가 감염 안 된다는 거잖아요. 

 

▷ 배경택 : 네. 뭐 지금 저희 집계로 보면. 

 

▶ 김어준 : 이 수치로 보면 돌파 감염이 안 된다는 거잖아요. 이 수치로 보자면. 이미 750만 명이 모집단이니까 숫자는 충분히 큰데 0.035%라면 99.9%는 괜찮다는 거죠. 

 

▷ 배경택 : 통계적으로 그렇게 볼 수도 있고, 

 

▶ 김어준 : 통계적으로. 

 

▷ 배경택 : 아까 제가 말씀드렸던 아까 4월 달부터 미접종군 대비해서 접종 완료군에서 82.6% 감염 예방 효과가 있었다, 이래서 83%에서 한 99% 사이에 효과가 있긴 할 건데 어쨌든 분명하게 효과가 높다라고는 말씀드리겠습니다. 

 

▶ 김어준 : 요 80%대는 이제 1차 접종 혹은 접종한 지 얼마 안 된 분들 다 포함된 것 아닙니까? 

 

▷ 배경택 : 요 82.

 

▶ 김어준 : 6%, 그렇죠. 

 

▷ 배경택 : 네. 

 

▶ 김어준 : 그런데 지금 말씀하신 숫자는 접종 완료한 750만 명을 기준으로 해서 돌파 감염이 사례가 얼마나 되냐. 0.035% 정도 된다, 이런 이야기고.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 김어준 : 그 차이는 거기 있는 것 같고요. 한 가지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정은경 청장이 이제 위드코로나 정책에 대해서 논의 중이고 10월 달이면 진행할 수도 있다고 밝혔거든요. 이게 이제 자세한 사항은 저희가 따로 시간을 마련해서 구체적으로 들어보겠습니다만 지금 질병청에서 준비를 하고 있는 거죠?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국제적인 얘기를 먼저 말씀드리면 외국에서도 이 사망이나 중증률이 낮아지고 일상으로 이제 일상이 가능한 수준으로 감염병을 통제하자라고 하는 게 소위 말씀하신 위드코로나가 대안으로 영국이라든가 뭐 싱가폴, 이렇게 얘기가 되고 있습니다. 그게 아마 우리 코로나19의 위중증률을 낮춰서 우리 계절성 독감 같은 수준으로 되면 일상을 회복하는 게 가능하지 않겠느냐라는 말씀들을 하고 계시고, 

 

▶ 김어준 : 치명률이 매년 있는 독감 수준으로 내려간다면, 이런 얘기죠? 

 

▷ 배경택 : 네, 그렇습니다. 전문가들도 국내에서 그런 말씀도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정부에서는 그런 부분들도 이제 고민을 하고 있고요. 다만 그런데 이 위드코로나를 가기 위해서는 백신접종률이 일정 수준이 되어야 되고, 그다음에 위중증률이나 치명률이 안정화가 되어야 됩니다. 그래서 질병청장께서 말씀하신 것도 이게 우리가 계속 예방접종 계속 추진하고 있으니까 이게 전 국민의 70% 이상이 접종한 시점이 된다고 하면 공개적으로 이런 얘기를 하고 그래서 중증화율이나 확진자 숫자, 사회적 부담 같은 객관적인 지표를 가지고 이 전환에 대한 것들을 공개적으로 한 번 얘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말씀을 드린 거고 구체적인 내용들은 저희가 계속 논의해서 9, 10월 정도 되면 조금 논의를 진행해서 말씀을 좀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김어준 : 10월 초부터 위드코로나로 바로 전환된다기보다는, 

 

▷ 배경택 : 그건 아니고요. 

 

▶ 김어준 : 네. 전제가 이제 전 국민 70% 이상 접종을 하고 그리고 그 통계치들. 예를 들면 치명률이 독감 비슷한 수준으로 확인이 되고 그런 몇 가지 전제가 충족이 되고 나면 이제는 위드코로나를 공개적으로 공식적으로 논의하자, 이런 거군요. 

 

▷ 배경택 : 그렇습니다. 정부에서도 그런 부분들을 국민들에게 건강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백신접종률이라는 것하고 다른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가지고 보수적으로 고민하고 그리고 계획을 세워서 말씀드리겠다, 이런 부분이 있고요. 

 

▶ 김어준 : 알겠습니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게 이제 마치 10월부터 위드코로나가 되는 것처럼 보도를 해 가지고 제가 여쭤봤습니다, 일단.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배경택 : 네, 감사합니다. 

 

▶ 김어준 :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배경택 상황총괄단장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