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뉴스

AZ 백신 접종 후 희귀혈전증 발생?

메디아 2021. 4. 12. 10:29
728x90
반응형

[잠깐만 인터뷰] - 전화연결

AZ 백신 접종 후 희귀혈전증 발생? 

"국내에선 확인 안돼..대응체계는 이미 마련" 

- 최원석 교수 (고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 김어준 : 자, 이 대목은 저희가 잠시 전문가 연결해서 이게 이제 희귀 혈전증 때문에 그걸 검토하느라고 잠시 중단했다 30세 미만은 제외하기로 했는데 이 희귀 혈전증 관련해 잠깐 전문가 연결해보겠습니다. 고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최원석 교수 전화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 최원석 : 네, 안녕하세요. 

 

▶ 김어준 : 이 희귀 혈전증이 어떤 질환입니까? 

 

▷ 최원석 : 혈전이라는 게 이제 혈관 내에서 혈액이 굳는 것을 일단 이야기하는 거고요. 혈전증이라는 건 피가 굳어서 나타나는 질환이죠. 그런데 여기 이제 희귀라는 말이 붙었던 것은 특별하게 이제 잘 나타나지 않는 곳, 드물게 나타나는 곳에서 이런 혈전이 나타났기 때문에 붙여진 것인데요. 뇌동맥동혈전증이라고 그래서 머리 안에 있는 동맥동 그리고 내장정맥혈전증, 이런 것들이 나타나는 게 지금 아스트라제네카하고 관련지어서 보여지는 혈전증의 양상입니다. 

 

▶ 김어준 : 그러니까 유럽에서 지금 말씀하신 매우 희귀한 두 가지 유형의 혈전증이 나타났다는 거죠? 

 

▷ 최원석 : 네. 이제 뭐 그 이외에도 사실 인과관계가 아직 명확하게 규정되진 않은 다양한 혈전증들이 있긴 한데요. 주로 지금 기전과 관련되어서 관련성 있다고 보여지는 게 이 두 가지 형태입니다. 

 

▶ 김어준 : 그렇군요. 이게 이제 희귀라고 하는 건 뭐 100만 명당 몇 명 정도 나타나는 정도라는 건가요? 

 

▷ 최원석 : 일단 유럽에서 발생했었던 사례를 기준으로 보면 10만 명당 1명에서 100만 명당 1건 정도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김어준 : 100만 명당 1건이요. 

 

▷ 최원석 : 네, 네. 

 

▶ 김어준 : 희귀하긴 희귀하네요. 그런데 이게 이제 희귀한데 치명적입니까? 

 

▷ 최원석 : 가볍게 여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아니죠. 물론 이제 조기에 인지하고 적절하게 대처를 하면 치료하고 악화되는 걸 막을 수는 있는데요. 적절한 대처가 되지 못하면 사망에 이르는 사례도 보고는 되어 있습니다. 

 

▶ 김어준 :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으면. 거꾸로 적절한 조치를 하면 사망까진 이르지 않는다는 말씀이긴 하네요. 

 

▷ 최원석 : 네.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하겠죠. 

 

▶ 김어준 : 그렇겠죠.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혹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이후 희귀 혈전증이 나온 케이스가 발견이 됐나요? 

 

▷ 최원석 : 지금 이제 국내에서 백신 접종 후에 혈전이 만들어졌다고 보고된 환자가 국내에선 지금 세 케이스가 보고가 됐는데요. 사실 이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하고 관련지어서 나타나는 희귀 혈전증의 경우에는 혈소판 감소라는 걸 이제 동반하는 게 기전상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분들은 혈소판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었거든요. 그래서 기전이 아닌가라고 의심을 좀 하고 있습니다. 

 

▶ 김어준 : 그러니까 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인한 혈소판 문제는 아닌 것으로 우리나라 케이스는. 

 

▷ 최원석 : 네. 조금 더 조사는 해봐야 되겠죠. 

 

▶ 김어준 : 알겠습니다. 여태까지는 그렇군요. 그러니까 유럽은 지금 말씀하신 두 가지 유형의 희귀 혈전증이 나타났기 때문에 이제 유럽에서 문제가 됐던 것이고 우리나라 경우에는 아직 이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예방적 차원에서 이제 30대 이하는 그러면 접종을 하지 않는다, 이렇게 결정한 거군요. 말하자면. 

 

▷ 최원석 : 네. 그러니까 단순히 희귀 혈전증이 나타나는 연령으로 국한한 게 아니고요. 지금 이제 나타나는 연령은 한 55세에서 60세 미만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각 연령층마다 백신을 접종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 그리고 이런 이상반응이나 부작용으로 인해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 이런 걸 갖고 분석을 한 거죠. 그렇게 분석을 했을 때 득실을 따져보니 30세 미만의 경우에는 어떤 조건에서는 득보다 실이 더 많을 수 있다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고, 그것 때문에 이제 30세 미만을 이 백신의 신규 백신 접종에서는 배제하기로 한 겁니다. 

 

▶ 김어준 : 그러니까 20대에서는 워낙 코로나로 인한 사망률이 훨씬 낮다 보니까, 아주 낮다 보니까 희귀 혈전증으로 인한 유형보다는 그로 인한 사망 확률이 더 높다, 이렇게 판단한 거군요. 

 

▷ 최원석 : 네. 이게 이제 사망과 중증 발생 두 가지를 놓고 한 여섯 가지 정도 시나리오를 만들어서 분석을 했고요. 어떤 시나리오에서는 사실 백신 접종이 더 좋게 나타나는 것들도 있었는데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었거든요. 그게 좀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좀 더 보수적으로 평가를 한 거죠. 

 

▶ 김어준 : 보수적으로 100만 명 중에 1명이라고 하니까 희귀는 희귀지만 그럼에도 주의하자, 이런 차원으로 이해하면 되겠네요. 자,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최원석 : 네, 감사합니다. 

 

▶ 김어준 : 네.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의 최원석 교수였습니다.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