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뉴스

윤석열 당선인 “광화문 이전은 시민들에게 재앙”

메디아 2022. 3. 21. 01:44
728x90
반응형

윤석열 당선인 “광화문 이전은 시민들에게 재앙”

 

 

 

 

윤석열 당선인이 20일 “당선인 신분으로 보고를 받아보니 (대통령 집무실의) 광화문 이전은 시민들에게 재앙이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윤석열 당선인은 이날 서울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방안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윤석열 당선인은 대선 당시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 옮기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당선 이후에는 정부서울청사 별관에 있는 외교부 청사로의 이전 방안이 함께 검토됐다.

이에 대해 윤석열 당선인은 “기존에 들어가 있는 정부 기관 이전 문제라든지, 대통령 경호를 최소화한다 해도 광화문 인근 지역에서 거주하거나 그 빌딩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불편이 좀 세밀하게 검토가 안된 것 같다”며 한계를 사실상 인정했다.

윤석열 당선인은 “수시로 휴대폰이 안터지고 전자기기 사용에 지장이 발생한다던가 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여기 있는 여러 기업이라든지 금융기관이 갑자기 몇분 몇초라도 그런 문제 생겼을 때 상당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며 “제가 당선이 확정된 직후부터 보고를 받았는데 광화문 이전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윤석열 당선인은 “광화문으로 (대통령 집무실이) 가게 되면 청와대를 100% 개방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며 “대부분 외국 대사관들이 자리잡고 있는 그쪽에 외교부 청사가 있어야하는데 이걸 옮긴다는 것도 어렵다”고 말했다. 또 “현실적으로 앞 정부에서도 광화문 이전을 추진했지만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며 “비용도 (용산 이전) 전체 비용을 합친 것보다 몇배는 든다”고 했다.

 

 

반응형


윤석열 당선인은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의 부동산 등 추가 규제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당선인은 “국방부와 합참(합동참모본부) 주변 지역은 원래 군사시설 보호구역에 의한 제한을 받고 있다. 그 제한에 따라서 계속 개발이 된 것”이라며 “그쪽에 있는 아파트 신축 이런 것도 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해왔다. 추가적인 제한은 없다”고 말했다.

현재 청와대 주변의 규제는 일부 풀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윤석열 당선인은 “사실상 저(청와대) 뒤에 옛날에 김신조가 넘어왔다. 저 뒤에 평창동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 제한들이 많은 걸로 안다”며 “고궁 때문에 이뤄지는 경관 제한은 존속하겠으나, 그런 것들이 많이 풀어질 걸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